충남대 박인혁 교수, 공동연구 논문 ‘Science’ 게재
2차원 유기 페로브스카이트 신규 물질 개발
홍대인 | 기사입력 2024-04-14 15:12:45

[대전타임뉴스=홍대인 기자]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박인혁 교수팀과 홍콩 이공대학 Kian Ping Loh 교수 연구팀이 한국인의 이름을 딴 차세대 반도체용 2차원 유기 페로브스카이트 신규 물질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Science’(IF : 47.73)에 4월 4일자로 게재됐으며, 충남대 박인혁 교수가 공저자로, 홍콩 이공대학 Kian Ping Loh 교수가 교신저자로, 최화섭 박사후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다.

※논문 제목: Molecularly thin, two-dimensional all-organic perovskites

페로브스카이트는 화학 구조식 ABX3를 가지는 물질로, A는 큰 양이온, B는 작은 양이온, X는 음이온을 나타낸다. 페로브스카이트는 전통적으로는 강유전성, 촉매부터, 최근 태양전지, LED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물질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페로브스카이트는 3차원 구조를 갖지만, 2차원 구조를 갖는 Ruddlesden-Popper phase(RP 상), Dion-Jacobson Phase(DJ 상)이 존재한다. 그러나 2018년 발견된 A, B, X가 모두 유기물인 ‘유기 페로브스카이트’는 기존 무기,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와 달리 전하 균형이 맞지 않아 이런 2차원 상이 존재할 수 없다고 알려져 왔다.

공동 연구팀은 격자의 edge 자리에 추가적 B 양이온을 넣고, 새로 개발한 CMD 분자를 A 양이온으로 사용하면 수소결합을 통해 추가적 B 양이온이 안정화됨으로써 2차원 구조를 가지는 유기 페로브스카이트가 존재할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공동 연구팀은 새로운 고체 물질 구조의 이름을 처음 발견한 사람의 이름으로 명명하는 과학계에 관례에 따라 이번에 새롭게 개발한 2차원 유기 페로브스카이트의 이름은 ‘Choi-Loh-van der Waals phase’(CL-v 상 / 최화섭, Kian Ping Loh)으로 명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CL-v 상’은 2차원 구조로 되어 있어 4.2 nm 두께의 매우 얇은 초박막으로 성장할 수 있으며, 높은 밴드갭과 실리콘 산화물보다 높은 유전율(4.8~5.5)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2차원 전자 소자(FET)의 절연체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박인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 소자의 한계를 뛰어넘는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소자의 마지막 핵심 물질인 고유전율 2차원 절연물질을 개발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소형화, 고성능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꽤 오랫동안 국제협력한 연구 성과가 ‘Science’지에 게재돼 매우 감회가 새로운 만큼 현재 수행 중인 2차원 유기 페로브스카이트 관련 후속 연구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여수타임뉴스광양타임뉴스순천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