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 사전예방이 중요하다.
애멸구 방제와 논두렁 잡초 제거해야
신인균 | 기사입력 2009-05-29 19:48:53

충청북도농업기술원(원장 민경범)은 벼농사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벼 줄무늬 잎마름병은 애멸구 방제와 논두렁 잡초 제거를 철저히 할 경우 성공적으로 방제될 수 있다는 중간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벼줄무늬잎마름병은 지난 1935년 경남 진주와 밀양지역에서 처음 발생하여 남부지방에서 큰 피해를 주었고, 2001년에는 경기도 7개 시군에서 발생한 이후 2007년에 전북 부안과 충남 서천에서, 지난해에는 전남 진도와 해남 등에서 2,282㏊가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될 우려와 함께 발생지역에서는 벼 수량에 큰 감소를 가져와 일부지역에서는 사회문제가 되기도 했다.

벼줄무늬잎마름병은 애멸구가 옮기는데 이병에 걸리면 본논초기에는 어린잎이 황백색으로 변하고 종이를 꼰 것처럼 말린 후 대부분 말라죽는다. 또, 병에 걸린 벼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말라죽거나 늦게 침입을 당한 벼는 이삭이 기형이 되어 큰 피해를 주는 병이다.

특히, 벼 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는 일단 발생하면 방제가 어려워 벼농사에 큰 피해를 주는 병으로 사전예방이 최선의 방법이다.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유전자 진단기술(VC/RT-PCR)을 이용하여 2008년과 2009년에 줄무늬잎마름병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해충인 애멸구의 바이러스 보유 여부를 조사했다.

농업기술원 관계자에 따르면 조사결과 지난해에는 애멸구의 보독충율이 0%이었으나, 금년에는 1.1%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평균 6.1%에 비하면 낮은 보독충율이지만 지난해에는 애멸구에서 조사되지 않은 바이러스가 금년도에 확인된 것이고, 2007년도와 2008년도에 발생되어 큰 피해를 받은 전남도와 충남도에서도 예측하지 못한 면적에서 대단위로 발생됐다.

또, 최근 친환경농업의 확대로 농약 사용이 급감하고 있기 때문에 논밭두렁의 잡초제거와 애멸구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충북도도 줄무늬잎마름병에서 안전할 수 없다고 밝혔다.

충북농업기술원에서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이 일단 발생하면 방제가 어렵고 많은 면적에 심각한 피해를 주기 때문에 사전예찰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농가에서는 적기에 애멸구를 비롯한 해충 방제와 논두렁 잡초 제거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