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국 매몰지 일제 조사 후 보완·정비 착수
이부윤 | 기사입력 2011-02-07 23:02:50

[서울=타임뉴스] = 환경부는 전국이 구제역과 AL로 살처분으로 매몰된 지역을 일제 조사 후 보완·정비 착수 한다고 밝혔다.

우선 상수원 상류인 낙동강 및 한강수계는 금주 중 조사완료 4월말까지 보완 예정이며 매몰지 인근 토양·지하수 조사 및 상수도 보급도 병행 추진키로 했다.


지난해 ‘11월29일 경북 안동에서 처음 발생한 구제역이 경기 연천을 거쳐 강원도 등 9개 시·도 76개 시·군으로 확대되고 있다. 구제역으로 인해 살처분된 소와 돼지가 약 292만두에 이르고 매몰지가 4054개에 달하고 있다.

또한 전북 익산군 등 5개 시·도 18개 시·군에서는 조류인플렌자로 인해 닭·오리 500만두가 197개 매몰지에 매몰시켰다.

< 구제역 및 AI 매몰지 현황(‘11.2.5) >



정부는 매몰지 조사 및 보완·정비 추진을 위해 전국 4054개 매몰지 중 상수원 상류지역에 대해서는 우선 조사하고 잔여 매몰지에 대해서는 이후 일제조사를 거쳐 보완·정비할 예정이다.

경북도 993개(’11.1.24 기준) 매몰지 중 경북도의 요청에 따라 정비가 필요한 89개 매몰지에 대해 전문가가 참여하는 실태조사를 지난 ‘11.1.24∼28일간 실시했다.

사결과 45개 매몰지는 차수벽·우수차단시설 등의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수 배제 등 부분 보완이 필요한 매몰지도 16개 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금주(‘11.2.10∼2.16)중 한강 수계 지역 부실 우려가 있는 매몰지에 대해서도 추가조사를 실시하여 4월말까지 최우선적으로 정비를 실시할 계획이다.

나머지 매몰지를 대상으로 정부합동(행안부 환경부 농식품부) 일제조사를 ‘11.2.21∼3.4일까지 실시한다.

같은 기간 동안 GPS를 활용하여 매몰지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양지하수 정보시스템(SGIS)에 등재하여 관리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우기에 붕괴나 유실 가능성이 있는 부실 매몰지는 지자체에서 4월말까지 정비 할 계획이며 매몰지 보완·정비를 위한 소요예산은 관계부처 합동으로 분담한다는 것이다.

한편 이미 매몰지역의 유공관 설치 복토 관측정 설치 등 부분 보완이 필요한 매몰지는 농식품부 주관으로 2월말까지 보완을 완료할 계획이다.

봄이 되면서 기온이 올라가 본격적으로 오염이 측정되는 시기로 토양·지하수 등 환경영향 감시 추진 한다.

특히 환경부는 매몰지 주변 관정에 대한 지하수 조사와 관련하여 지자체별로 암모니아성 질소 등 4개 항목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환경부차원에서 지하수 종합조사의 일환으로 매몰지 주변 300m 이내 관정 3000개소에 대해서는 암모니아성 질소 등 4개 항목을 분기 1회씩 조사(16억원)를 금주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상수원 상류 및 오염우려 매몰지 관정 1000개소에 대해서는 병원성 미생물 등 7개항목 조사(30억원)도 금주 중 계약을 체결하여 추진한다.

한편 부실 매몰지 300개소를 선정하여 침출수 특성과 19개 항목의 수질을 분석하고 토양 및 매립가스를 측정하는데 총 54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매몰지 주변 악취 저감의 일환으로 유용미생물(EM)에 대한 검증사업을 2월 중 실시하여 지자체에 통보할 예정이며 살처분 가축 매몰지의 사체 분해기술 등 매몰지 조기 안정화 기술개발에 향후 3년간 13억원을 투자한다.



특히 주민들이 생수원인 상수도 보급 등 먹는물 대책으로 매몰지 인근 지역주민 식수대책의 일환으로 경북 안동시 등 17개 시·군 584개 마을에 상수도 보급사업 예산 857억원을 지난해 12월에 이미 지원하고 있다.

한편 추가 매몰지 발생지역에 대한 상수도 보급 예산 지원을 위해 지자체별 지원방안을 수립하여 예산당국과 협의중에 있으며 향후 매몰지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시급성을 감안하여 지자체별 우선순위에 따라 대상을 선정하여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