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부터 맥주 맛은 달라도 병은 동일
환경부, 맥주 제조업계와 맥주공병 공용화 자발적 협약 체결
| 기사입력 2009-12-09 16:58:35

환경부는 12. 9일 과천 그레이스호텔에서 맥주공병의 공동 사용으로 순환자원의 재사용을 촉진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천하기 위하여 2개 맥주제조사(OB, 하이트) 및 (사)한국용기순환협회와 “맥주공병 공용화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국내 주류 중 가장 많이 소비(연간 30억병)되는 소주에 대해서 지난 ‘09.6.2일 “소주공병 공용화를 위한 자발적 협약식” 개최에 이어, 이번 협약은 1인 연간 소비량이 약 110병(연간 약 20억병)으로 소주와 함께 대표적인 국민 술로 꼽히는 맥주를 대상으로 정했다.



맥주업계는 ‘97년부터 선별·운반비용 절감차원에서 업계 자발적으로 맥주공병을 공동 사용하고 있으나,

○ 타사명이 새겨진 공병에 자사 맥주를 담아 판매함으로써 소비자의 혼란을 야기 시키고, 별도의 규약 없이 운영됨에 따라 일부 업계에 공병 관리부담 편중 및 재사용의 한계 등의 문제가 있어 그동안 재사용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 이에 환경부는 (사)한국용기순환협회와 함께 주류병 공용화 사업 연구용역 및 공병관리위원회 설립 등을 통해 체계적인 공병 공용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해왔으며, 맥주 제조사가 이를 받아들여 자발적인 협약식을 체결하게 된 것이다.



○ 환경부와 제조업계 등이 자율적으로 추진하기로 한 자발적 협약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 (제조사) 규격이 동일하여 현재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는 맥주 공병(용량 500ml, 640ml)의 공용화를 공식화하여 체계적인 회수·재사용을 통한 자원의 절약과 CO2 배출감소에 노력



· 동일 형태의 병을 사용하는 오비맥주(주), 하이트맥주(주) 등 2개사는 2010년 6월 1일부터 공용화병을 제작한 후 공동으로 사용



- (한국용기순환협회) 맥주공병의 강화, 경량화 등 재질·구조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



- (환경부) 맥주공병 공용화사업의 적극 지원 및 제도개선을 위해 노력



또한, 환경부는 공용화 기반조성을 위한 제도화 및 공용화 확대 유도를 위해 ‘10.1.1일 시행 목표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 추진 중에 있다.



빈용기보증금 포함제품의 재활용실적에서 공용화병의 인정을 통한 공용화 유도 등



따라서, 환경부는 이번 협약과 관련 법령개정을 통한 제도적인 공용화 유도로 인해 주류 공병의 회수·재사용(Reuse)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개선하고, 법령 개정이후 맥주 공용화병의 법적 재활용실적 인정을 명확히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맥주공병 공용화가 차질 없이 추진되면, 공병의 선별·교환비 등 물류비용 감소 및 신병 투입을 줄일 수 있어 연간 160억원의 경제적·환경적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공병회수 체계 정상화로 주류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재사용 확대(7회→15회 이상)를 통한 자원순환성 향상 및 불필요한 신병투입 억제로 자원의 절약과 CO2 배출 저감 효과 등



※ 각국의 공병 재사용 횟수 : 독일 40~50회, 일본 28회, 캐나다 15~20회



환경부는 현재 ‘09.10.1일부터 공용화가 시행되고 있는 소주공병과 함께 이번 맥주 공병의 공용화가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과 녹색성장’ 실천사업의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앞으로 공병의 강도증가, 경량화 등 재질·구조 표준화방안 연구사업도 추진하여 맥주공병 재사용횟수 증대 등 자원순환성 향상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환경부는 소비자들이 가정 또는 식당 등에서 주류제품을 구입 하여 마신 후 담배꽁초 등 이물질을 투입하지 말고, 깨지지 않게 취급하는 것이 공병의 재사용율을 높이는데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역시 충청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
서울타임뉴스인천타임뉴스대전타임뉴스대구타임뉴스광주타임뉴스울산타임뉴스부산타임뉴스제주타임뉴스세종타임뉴스태안타임뉴스안동타임뉴스의성타임뉴스군위타임뉴스영양타임뉴스울진타임뉴스문경타임뉴스상주타임뉴스예천타임뉴스영주타임뉴스청송타임뉴스경주타임뉴스영덕타임뉴스구미타임뉴스김천타임뉴스칠곡타임뉴스봉화타임뉴스